- 입력 2021.01.27 09:43
글을 쓰고 있는 시점인 오늘(20일)은 절기상 ‘대한’이다. 명절도 아니고 그깟 절기가 대수냐고 할 수도 있겠지만 알면 알수록 오묘하고 슬기로운 생활의 지침서가 바로 절기다.
옛날 대다수 사람들이 농사를 짓고 자연에 기대어 살아가던 시절 날씨와 자연의 변화는 아주 중요하지만 사람들이 어쩔 수 없는 신의 영역이었다. 그런데 오랜 세월동안 많은 사람들이 신들 세상의 법칙을 관찰하고 읽어내어 함께 쌓아온 집단 지성의 결과물이 바로 절기다. 절기에 따라 날씨가 어떨 것이다 예측이 되고, 자연의 모습이 어떨 것이다 짐작이 갔다. 그래서 이때쯤이면 농사를 어떻게 준비하고, 또 어떻게 짓고 갈무리 할 것인지 알려줬다. 농사 외에도 그 절기에 따라 ‘무엇을 먹고, 어떻게 살림 채비를 하고, 사람들과 어울려 이렇게 살아라’ 라는 생활 속에서 자연의 순리를 따라가는 방법이 들어있다.
설날, 단오, 추석 등 큰 명절이 음력으로 날짜를 세는 반면 절기는 양력이다. 태양의 움직임이 계절과 날씨의 변화에 더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1년에 24번의 절기가 있어 24절기라 부른다. 한 달에 두 번씩 있는 절기는 매월 초 5일 주변과 보름 뒤인 20일 전후로 있다. 즉 절기는 약 보름을 주기로 정해진다. 절기의 처음은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부터 우수·경칩·춘분·청명·곡우, 여름의 시작 입하·소만·망종·하지·소서·대서, 가을의 시작 입추·처서·백로·추분·한로·상강, 겨울의 시작 입동·소설·대설·동지·소한 그리고 겨울을 매듭 짓는 대한으로 끝난다.
1월에 있는 절기는 5일 소한과 20일 대한으로 작은 추위, 큰 추위란 뜻이다. 말로 치면 소한보다 대한이 더 추워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 보면 소한 무렵이 더 춥다. 이런 오류는 처음 절기가 만들어질 때 우리와 추위의 시기가 다른 중국의 절기에 영향을 받아 그런 것이라고 한다. 대한이라고 하면 엄청 추울 것처럼 생각되지만 대한은 이미 추위가 한풀 꺾이는 시점이라고 보면 된다. 그래서 각종 일기예보를 찾아보면 ‘대한을 기점으로 날씨가 풀리고 있다. 영상의 기온을 회복하고 있다’라는 뉴스가 많다. 소한 무렵이 대한 때보다 훨씬 춥다는 뜻으로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 “대한이 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 죽었다”, “소한의 얼음 대한에 녹는다”라는 속담도 있다. 대한이 이름값을 못한다고 할까.
그렇게 추웠던 날씨가 오늘이 대한이라는 것을 알았는지 갑자기 날이 풀리며 하늘도 화창하고 기온이 올라 묵었던 눈과 얼음들이 흔적을 감추며 사라져가고 있다. 운동을 하거나 산책 나온 사람들이 간간이 눈에 띄었다. 정말 신기하다. 이렇게 풀리는 건가!
대한은 24절기 중 가장 마지막 절기로, 이제야 그 해가 끝났음을 말한다. 대한이 지나면 약 보름 뒤에 새로운 해의 첫 번째 절기인 입춘이 온다. 매년 2월 4일이다. 말 그대로 입춘은 봄의 기운이 일어서기 시작하는 절기다. 절기에 대해 알게 되면서 봄 기운이 시작되는 입춘 무렵이 정말 1년이 다시 시작되는 것 같다. 우리가 1년을 이야기할 때, 봄여름가을겨울이라고 하지 겨울봄여름가을겨울이라고 하지 않지 않은가. 겨울 중간에 새해가 시작되는 것에 뭔지 모를 어색함이 있었다. 시작과 끝이 확실한 해의 바뀜이 한창 겨울 속에서 이뤄져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여지가 없어서일지도 모르겠다.
올해의 대한이 더 간절하게 다가오는 이유는 어쩜 ‘끝’이라는 말 때문인 거 같다. 코로나19라는 예상치 못한 복병으로 사람들의 일상이 바뀌었고, 직업도 가계도 바뀌었다. 2020년은 모두에게 잃어버린 해가 됐다. 아무 것도 못하고 지나버린 해가 너무 억울하다는 말도 한다. 이렇게 지겨운 시간들이 이젠 끝이 났으면 좋겠다. 그래서 절기의 끝 대한이 이토록 절실하게 박히는 것 같다. 입춘이 오며 봄의 기운이 돋아나듯 새 삶이, 새 생활이 새로운 해가 시작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너무 간절하다. 이젠.
'내가 좋아서 하는 일 > 생태칼럼-용인시민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나무잎 뭉텅이의 비밀, 도토리거위벌레 (0) | 2021.10.22 |
---|---|
참나물이 아니라 ‘파드득나물’이랍니다 (0) | 2021.07.31 |
독수리 무용담 (0) | 2021.07.31 |
우리 동네 골칫거리 고라니가 멸종위기? (0) | 2021.07.31 |
억새와 갈대 그리고 달뿌리풀 (0) | 2021.07.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