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속에서 놀며 배우며/식물이야기20

수까치깨 용인 신봉동계곡 초입에서 만난 수까치깨입니다. 우리나라에 있는 까치깨종류에는 까치깨 수까치깨 암까치깨가 있습니다. 이름이 그렇지만 한송이 꽃에 암술과 수술이 다 있는 양성화입니다. 수술만 있는 것도 아니고 암술만 있는 단성화도 아닌데 왜 그렇게 이름이 붙어있는지 모르겠.. 2019. 2. 25.
고추나물 물레나물과 비슷한데 크기가 많이 작다 충북 미원 2015.8.11 2015. 8. 11.
붉은서나물 2013/9/2 양달에서 발견 북아메리카 원산이다 양지에서 발견되어 퍼졌다는데 이곳 원삼에선 심심치않게 발견된다 특징.. 1. 줄기 아래쪽과 벌어지지 않은 꽃봉오리가 붉은 색을 띤다 2. 잎은 잎자루가 없이 줄기에 붙는다 결각이 심하며 밤나무잎처럼 잎맥끝이 뾰족하다 3. 쇠서나물.. 2013. 9. 2.
계요등 8월 양달숲 발견 열매에서 닭의 오줌냄새가 난다하여 계요등 풀인줄 알았는데 덩굴성 떨기나무라한다.. 작은 꽃이 이쁘다.. 박주가리 닮았다 생각했는데... 민간에서 여러 방면 약재로 쓴다는데 주목할것은 농약해독 작용이 있다하네... 내가 농약을 먹을리는 없겠지만 알아두면 .. 2013. 8. 30.
가시연꽃이 피었습니다 작년 처음 가시연을 분양받아 심었을때 많은 기대가 있었습니다 멸종위기식물인 가시연의 꽃을 우리집에서 볼 수 있다니 하며 그런데 옮겨심은 후유증인지 아님 작은 연못이 맘에 들지않은것인지 꽃대가 몇 올라왔으나 한송이 피워내지 못하고 말았지요 그런데 이 가시연의 생태가 참 독특하여 자기.. 2011. 9. 2.
고구마꽃이 피었습니다 아이들과 산책나갔다가 잡앞 고구마 밭에서 발견한 고구마꽃. 난생 처음 본다는 설레임에 신기해하며 몇 컷 아이폰으로 찍었다 그런데 슬프고 착잡하다 원래 고구마꽃은 우리나라에서 만나면 안되는 인연. 기후온난화로 인해 우리나라가 더워지면서 피지 말아야 할 꽃이 피고 말았다 그래도 이쁘긴 .. 2011. 8. 9.
측백나무 높이 25cm, 직경 1m 정도로 자라며 수피는 적갈색 또는 회갈색으로 세로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갈라지며 벗겨진다. 어린가지는 녹색으로 납작하다. 잎은 비늘 모양으로 V자나 X자 모양으로 겹겹이 배열하며 폭이 2~2.5mm 로 뒷면에 작은 줄이 있다. 앞뒷면의 구별이 어렵다. 암수한그루로 전년지의 끝에 달.. 2011. 7. 11.
은사시나무 은사시나무 쌍떡잎식물 버드나무목 버드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한국의 수원사시나무와 미국 은백양 사이에 생겨난 자연 잡종이다. 인공적으로 수원사시나무와 은백양을 교잡하여 생산한 수종은 정식 명칭이 은수원사시나무 또는 현사시나무이다. 하지만 은사시나무와 구별하기 어렵다. 옛말에 .. 2011. 7. 11.
[스크랩] 선인장 이뻐서 한컷 2011. 6.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