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르치려다 더 배웁니다(교육강사)147

기후위기 적응관련 자료들 https://www.bbc.com/korean/articles/cd1elzg2vdmo 기후변화: 도시가 폭염에 적응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들 - BBC News 코리아우주에서 촬영한 도시 열 지도를 통해 도시 공간 속 가장 뜨거운 지역을 찾아내고 더 나은 폭염 대비 계획을 세울 수 있다.www.bbc.com 2024. 7. 17.
자연물로 만다라 만들기 - 대칭과 비대칭, 규칙과 반복 협동작품으로 여러명의 아이들이 함께 만드는 자연물 만다라어느 한 친구가 규칙적인 반복을 표현하면, 다른 친구들이 센스있게 따라 하며 전체적으로 대칭적이고 규칙적인 만다라 예술작품을 만들었다. 서로간의 의사소통과 다른 친구들의 표현을 인정해주며 모방과 창조를 경험해보는 시간. 우리도 자연의 일부분, 함께 만다라의 일부가 되자며 표현한 발과 손의 예술 참여. 2024. 5. 11.
이 풀에선, 이 싹에선, 이 잎에선 어떤 꽃이 필까? 끈으로 표현해보기 봄에 하기 좋은 프로그램나무틀로 맘에 드는 새싹을 찾아보기 하기털있는 새싹 찾아보기둥근 잎을 가진 새싹 찾아보기잎이 많은 새싹 찾아보기뾰족뾰족 새싹 찾아보기아주 작은 잎을 가진 새싹 찾아보기 등등등 아이들이 새싹을 자세히 볼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그리고나서 찾은 새싹이 어떻게 자랄까? 이야기해보기. 어떤 꽃이 필까? 표현해보기가는 밧줄로 모양을 표현해보기. 2024. 5. 10.
자연물로 명화 표현하기 명화가 인쇄되어 있는 카드가 있어서, 자연물을 활용하여 표현하기를 해보았습니다. 덕분에 명화를 자세히 보게 되고 특징을 표현하게 되네요 2023. 4. 9.
강아지풀 마을 그리기와 인형놀이 강아지풀에 얼굴스티커를 붙여서 간단한 인형을 만들었어요. 그리고는 그 강아지풀 인형들이 사는 동네를 그림으로 그렸지요. 여러 친구들이 마음을 모아 그린 마을.. 참 재밌는 활동이 되었습니다. 강아지풀 인형을 왔다 갔다 하며 이야기도 만들고 역할놀이도 하며 재미있게 놀았답니다. 2023. 4. 9.
직접 만드는 카드놀이를 통한 환경교육 # 카드 만들기 1. 환경 주제에 맞는 실천사항을 말하기, 정하기, 적기 등을 통해 내용을 정하기 2. 포스트잇(색지) 2장에 그림을 그리는데 한가지에는 환경을 지키기 위한 노력을, 다른 한장에는 환경을 나쁘게 하는 생활습관을 그림으로 그리기. 그림이 안될 경우, 그림을 잘 알아보지 못할 경우 글로 써도 된다. 아이들 숫자보다 많은 카드가 있는 것이 좋으므로 더 그리고 싶은 친구는 더 그릴 수 있도록 한다. 3. 포스트잇보다 살짝 크게 미리 두꺼운 종이를 잘라놓았다가, 그림을 그린 포스트잇을 풀을 이용하여 붙인다. - 제작 끝 # 놀이하기 1단계 : 가위바위보 따위로 첫번째 발표자와 돌아가는 순서를 정한다 => 발표자가 자기가 그린 카드를 간단하게 설명하고 가운데로 내기 => 같은 내용의 카드가 있는 사.. 2023. 4. 9.
여주 다함께 돌봄센터 수업 - 한강유역환경청 국가환경교육지원단 2023년 4월 6일 / 한강유역환경청 국가환경교육지원단/ 여주 다함께돌봄센터 수업 물이야기 수업 / 우리 주변의 물, 물의 소중함, 물에 생긴 문제, 실생활에서 물절약과 물오염 방지를 위한 실천 방법 PPT를 활용한 이론 수업, 아이들과 토론 수업, 카드놀이 만들기와 놀이하기 아이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었고, 카드놀이를 위한 카드를 직접 만들어 놀이하니 수업효과가 아주 좋았다. 2023. 4. 9.
광합성놀이와 나무 만들기 광합성을 어떻게 재미있고 효과적이게 전달할 수 있을까 고민하면서 생각해낸 프로그램입니다. 1. 세명이 한모둠이 되어 광합성 카드(이산화탄소, 물, 햇빛이 써있는 카드) 놀이를 합니다. 세장의 카드를 갖자 갖고 있다가 한장만을 동시에 내었을 때 광합성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이 되면 성공!(또는 개성있는 구호) 하고 외치며 뒤에 숲에 들어가 나뭇잎과 나뭇가지를 가져올 수 있는 방식입니다. 여러번 광합성카드를 내며 놀이를 하며 성공한 모둠과 그렇지 않은 모둠은 쌓여있는 성과물의 차이가 생기게 됩니다. 2. 웬만큼 나뭇잎과 나뭇가지가 모이면 모인 나뭇가지와 나뭇잎으로 나무를 표현해보라고 합니다 그러면 성과물이 많은 모둠은 큰 나무가 될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작은 나무가 만들어집니다. 3. 광합성의 과정을 설명.. 2023. 4. 3.
안대를 활용한 나무껍질 느끼기 숲에서 자주 하는 프로그램중에 하나입니다. 둘이 짝을 이루어 한 명이 안대를 하고 나머지 한명이 잘 이끌어서 약간 떨어진 나무에게로 인도해 가서 안대한 친구가 나무를 만지면서 느끼게 해주는 놀이입니다. 시각이 차단되어있다보니 다른 감각이 예민해 지는데 특히 촉각이 발달하는 것 같습니다. 나무를 만지고 돌아와 어떤 나무였는지 다시 찾아가 알아맞추는 놀이입니다. 2023. 4. 3.